티스토리

애드소프트
검색하기

블로그 홈

애드소프트

blog.addsoft.co.kr/m

* 시간없이 꿈꾸는 여행자 * 야구지식 없는 야구사랑 * 입짧은 대식가 * 쇼핑을 좋아하는 블로거 * 결론없는 프로그래머

구독자
0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애드소프트 블로그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모두보기

주요 글 목록

  • ASDSvc.exe 프로세스는 무엇인가? ASDSvc.exe 는 무슨 프로세스? 오늘은 작업관리자에 실행되고 있는 ASDSvc.exe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SDSvc.exe 프로세스의 상세 정보를 확인해보니 ASDF Service Application이라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이 정보를 보고는 아무것도 알 수 없어 알아보려 합니다. ASDSvc.exe 파일 속성을 찾아보니 다음 서비스(SafeTransactionSVC)와 연관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단 서비스 정보를 찾아보니 AhnLab Safe Transaction Service 라고 표시된걸 보니 백신 프로그램의 서비스로 예상됩니다. 안랩을 통해 알아본 결과 ASD는 Ahnlab Smart Defense 란 약칭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ASD에 대해 찾아 보니 다음과.. 공감수 2 댓글수 0 2022. 2. 8.
  • WSActiveBridge.exe는 무슨 프로세스일까? 반갑습니다. 애드소프트 입니다. 오늘은 WSActiveBridge.exe에 대해 포스팅 해보려합니다. 파일 속성을 찾아보니 VOICEYE라는 회사 에서 만든 보안솔루션으로 확인됩니다. 자세한 정보를 찾아보니 정부,공공기관, 금융기관, 의료 등에서 인터넷으로 증명서 출력 시 문서의 내용을 음성변환용 바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기능하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이 프로세스는 악성 프로그램으로 분류 되지 않습니다. 삭제 유무는 사용의 선택입니다. 그럼, 간단히 삭제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윈도우키 + R를 이용하여 실행창에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C:\Program Files (x86)\VOICEYE\WSActiveBridgeES\unins000.exe" 실행 후 절차에 따라 삭제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이상으.. 공감수 1 댓글수 0 2020. 12. 25.
  • Image SAFER 5.0 Session Managing Service for x64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오랜만에 프로세스 관련하여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Image SAFER 5.0에 대한 글을 포스팅할려고합니다. 그냥 프로세스 명만 봤을땐 이게 뭐하는 서비스인지 알지를 못하겠습니다.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서비스인거 같아 서비스 정보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시면 위와 같이 서비스로 바로 이동가능합니다. 서비스 정보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MarkAny Image SAFER 5.0 이라고 설명에 표시됩니다. 인터넷에 검색해 보겠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정보를 확인해보니 보안 솔루션인거 같습니다. 자세히 살펴 보도록 ..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12. 22.
  • MagicLine4NX 프로세스는 무엇인가? MagicLine4NX 프로세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에 관련된 프로세스가 3개가 더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이 프로세스는 Magic Line V4.0 이라는 솔루션으로 None Active X 기반 인증서 인증, 전자서명, 웹구간 암복호화 솔루션으로 드림시큐리티라는 회사에서 제공되는 솔루션입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로그인이나 실명등에 사용되는 인증을 하기위한 보안 프로세스로 이해 하시면 됩니다. 설치되는 경로는 국세청, 관세청, 행정자치부 등의 사이트에서 많이 설치됩니다. 국세청 같은 사이트를 많이 사용한다면 설치의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삭제하는 것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삭제를 원하신다면 다음과 같이 삭제하시면됩니다. 윈도우키 + R을 입력 후 명령창이 실행되면 "appwiz.cpl"을 입력합..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12. 7.
  • Runtime Broker 다중 프로세스? 작업관리자를 보면서 오늘은 많은 프로세스가 중복 실행되는 Runtime Broker를 보게 되어 포스팅하게되었습니다. 메모리 사용률이 높은 편에 속해 궁금증이 생겨 한번 파해쳐 볼까 합니다. 파일 위치를 한번 검색해 보았습니다. 확실하진 않지만 C:/Windows/System32/RuntimeBroker.exe 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 되며 해당 파일은 악성 소프트웨어가 아닐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심증만 있을뿐 물증이 없기때문에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세스 속성 정보 또한 Microsoft사로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악성 프로그램이 아닐것으로 판단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홈페이지에서 검색해 봤습니다. 해당 프로세스는 Microsoft Store의 앱에 대한 PC권한을 관리는데 도움이 되는 .. 공감수 1 댓글수 0 2020. 11. 22.
  • Delfino G3 프로세스는 무엇일까? Delfino는 무슨 프로세스? ​ 오늘은 프로그램 및 기능 창을 열 때마다 보이는 Delfino G3 (x86) 버전 x.x.x.x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 프로그램은 위즈베라라는 국내 기업으로 기업이나 은행, 공공기관 등 통합 설치 프로그램 VeraPort로 유명합니다. 국내에 거주하시거나 국내 사이트를 이용하신다면 한 번씩은 볼 수밖에 없는 프로그램일 테니까요. 국내 사이트 none active-x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하면서 유명해졌지만 사실은 Active-X 기반 때 통합 설치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졌었죠. Delfino 프로그램은 사용자 인증 및 행위 부인 방지를 위한 전자서명 데이터 생성 및 검증을 위한 None-Active X 기반의 인증서 보안 프로그램입니다. ​ 기본적으로 작업관..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11. 20.
  • D'Amo WebCrypto Local Server(32비트) 프로세스 정보 안녕하세요. 애드소프트 입니다. 오늘은 D'Amo WebCrypto Local Server(32 비트)라고 작업관리자에 항상 실행되는 프로세스에 대해 알아볼께요. D'Amo WebCrypto Local Server(32 비트)는 펜타시큐리티시스템(주)에서 만든 프로그램으로 로그인시 사용되는 인증서 관리나 결제등에 사용되는 클라이언트의 키보드보안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분석됩니다. 악성프로그램이나 바이러스는 아닙니다. 펜타시큐리티시스템(주)은 97년에 설립되어 2004년 PKI 솔루션인 ISSAC으로 행정정보보호용 시스템으로 채택되어 유명해졌죠. 일본/미국등에서 특허를 받았고 해외에 지사도 있는것으로 확인 됩니다. 또한, 웹 DB 등의 다양한 보안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교육기관에서 자주 설치..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11. 19.
  • 윈도우 10 단축키 정리 윈도우키 + R 조합으로 실행 창에서 실행되는 명령어와 단축키 모음. 첫 번째는 윈도우키 + X 키를 조합해서 누를 경우, 다음 사진은 윈도우키 + R을 눌렀을 경우 실행됨. 프로그램명 명령어 단축키 장치관리자 hdwwiz.cpl or devmgmt.msc 윈도우키 + X 누른 후 M 작업관리자 taskmgr 윈도우키 + Shift + ESC 프로그램 및 기능 appwiz.cpl 윈도우키 + X 누른 후 F 시스템 정보 확인 ​ 윈도우키 + Pause Break 노트패드 notepad ​ 그림판 mspaint ​ 계산기 calc ​ 커맨드 콘솔(도스창) cmd ​ 제어판 control ​ 서비스 services.msc ​ 원격 데스크톱 연결 mstsc ​ IIS(인터넷 정보 서비스) 관리자 inetmgr..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11. 18.
  • ezPDFWSLauncher.exe 넌 무슨 일을 하니? exPDFWSLauncher.exe 란 무엇인가? ​ 해당 프로세스는 유니닥스에서 제공하는 PDF 리더, ExPDF Reader 관련 프로그램입니다. ​ 서비스에 등록 되어 있는 제품으로 부팅시 자동시작되는 프로그램 입니다. ​ ​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처리하시면 됩니다. "윈도우키 + R" 단축키를 누르시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뜹니다. 다음과 같은 창이 실행되면 "cmd" 명령을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 다음 명령어를 실행 할 경우 다음과 같은 창이 생성됩니다. 다음과 같은 창이 생성되면 다음 명령들을 입력합니다. sc stop ezPDFWSLauncher 입력 후 엔터키를 입력합니다. ​ 실행이 성공했다면 다음 명령을 실행합니다. sc config ezPDFWSLau..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11. 18.
  • RAON K 프로세스는 무엇일까? RAON K는 무슨 프로세스? ​ 오늘은 작업관리자에 실행되고 있는 RAON K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라온 위즈라는 국내의 기업으로 웹 표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회사로 확인됩니다. 정부용 개발 시 많이 사용되는 프레임워크로 국세청이나 정부24 와 같은 국가 사이트에 접속 시 입력 보안 등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작업관리자 프로세스를 살펴보면 위와 같이 실행 중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메모리, CPU, 디스크 점유율 또한 크게 높지 않기 때문에 굳이 삭제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리고 삭제해도 연말 정산 때와 같이 국세청 홈페이지 등을 이용할 경우 다시 자동으로 설치됩니다. ​ RAON K 삭제 방법? ​ "윈도우키 + R"를 눌러 실행 팝업창이 뜨면 "appwiz.cpl"..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11. 18.
  • MS WORD 실행 오류 (0xc0000022) 황당한 경험. MS WORD를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 실행과 동시에 회색 팝업창과 함께 WINWORD.EXE 응용프로그램 오류 "응용 프로그램을 제대로 시작하지 못했습니다(0xc0000022). 응용프로그램을 듣으려면 [확인]을 클릭하십시오." 라는 문구와 함께 프로그램이 종료되더군....음.... 바쁠때 한번씩 이러면 아주 곤란한데 말이야. 고민하다가 Microsoft 커뮤니티 사이트를 뒤져보니 해결 방법이 있더라구... 만약 이런 문제가 발생하면 당황하지 말고 다음을 실행보면돼. ​ Window키 + R 을 누른 후 "winword /safe" 명령을 실행해. ​ 그래도 안되면 다음글로 넘어가보자. ​ 무지 간단한데 나는 Mark Any 관련 프로그램을 삭제하니까 되더군 ... 젠장 ... ​ 이건 타사 프로그..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11. 18.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